근,원교산행/근교산행

경북 경주 오봉산(2011. 12. 10)

무명(無 名) 2011. 12. 10. 19:00

오봉산 산행기록 (경북 경주)

 

1. 산행일 : 2011. 12. 10(토)

2. 오른산 : 오봉산(632m)

3. 나홀로

4. 가는길

  - 노포(10:15) - 경주(11:08) : 아성여객(시외버스)

  - 경주 고속터미널앞(11:21) - 윗장시(11:46) : 300-1번 시내버스

5. 산행구간

윗장시(11:46)-성테마박물관(11:56)-고속도로굴다리(12:01)-유학사(12:15)-옥문지(12:18)-

주능선(12:55)-전망바위(13:00)-임도(13:10-13:22)-오봉산(13:32)-마당바위(13:37-13:43)-

주사암(13:46)-임도끝(13:55)-여근곡갈림길안부(14:06)-안부/둠벙(14:15)-484봉(14:29)-

성암사입구(14:58)-송선리정류장(15:07)-천포초교(15:26)

 

산행지도

 

정상석

 

윗장시(여근곡 입구)

 

연못가 소나무

 

성테마 박물관

 

성테마 박물관에서의 여근곡

 

여근곡

 

여근곡 입구

 

여근곡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신평리에 위치한 여근곡은 선덕여왕의 지기삼사(知幾三事)에 관한 전설 중의 하나에서 유래하는 지명이다. 636년(선덕여왕 5) 여름에 영묘사(靈廟寺) 앞 큰 연못인 옥문지(玉門池)에 난데없이 두꺼비들이 모여들어 싸우는 일이 생겼다.

 

모두 궁금히 여기는 가운데 선덕여왕이 해석하기를 두꺼비의 눈이 성난 것같이 생겼으므로 병란이 날 조짐이라 하고 알천(閼川)과 필탄(弼呑) 두 장군을 불러 2,000명의 군사를 주어 경주 서쪽에 있는 여근곡에 가서 백제의 복병을 치게 하였다.

 

두 장군이 여근곡에 이르니 백제의 장군 우소(于召)가 거느린 500여명의 복병이 있어 쉽게 물리쳤다. 이것은 옥문(玉門)을 여근(女根)으로 해석하여 여근은 음(陰)이므로 남근(男根)이 여근 속으로 들어가면 토사(吐死)한다는 음양설을 인용하여 해석한 것이다.

 

여근곡의 위치는 자인(玆仁)에서 경주로 가는 길목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에는 마곡산(馬谷山) 밑의 회곡치(回谷峙)가 있었던 곳으로 지형의 생김새로 보아 여근곡이었을 것으로 본다.(네이버 백과에서)

 

안내판

 

유학사

 

유학사

 

들머리

 

옥문지

 

옥문지

 

119 안내번호

 

니정표/쉼터

 

내려다본 여근곡

 

멀리 영천시가지

 

오봉산

 

오봉산 정상

 

마당바위

 

마당바위

 

마당바위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우라리생식마을과 낙동정맥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부산성

 

주사암 방향

 

마당바위

 

마당바위

 

주사암

 

주사암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 천촌리 오봉산(五峰山) 꼭대기에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로,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시가 주암사(朱巖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다. 조선 후기에 세워진 정면 3칸·측면 2칸의 영산전과 관음전, 삼성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은 탁 트여 부산성(富山城)이 한눈에 들어오며, 나머지 삼면은 바위로 둘러싸여 있다.

 

신동국여지승람》에 이 절에 얽힌 설화가 전해온다. 신라 때 한 노승이 밤마다 자신이 사는 동굴로 임금이 아끼는 궁녀를 데려가자 화가 난 임금이 궁녀에게 주사(朱沙; 짙은 붉은 빛의 광택이 있는 광물로서 정제하여 연료나 한방의 자료로 씀.)로 굴 옆 바위에 표시를 해놓으라고 일렀다. 궁녀가 임금의 말대로 주사병을 던져 바위에 물을 들여놓자 다음날 임금이 군사들을 동원하여 노승이 있는 동굴을 에워쌌다. 그 순간 노승이 주문을 외우니 순식간에 신병(神兵) 수만 명이 등장하여 노승을 보호하였다. 임금은 부처가 노승을 보호함을 깨닫고 노승을 국사(國師)로 모신 뒤 바위 옆에 절을 지어 주사암(朱砂庵)이라고 하였다.

(네이버 백과에서)

 

부산성 안내판

 

부산성

 

여근곡 갈림길 안부

 

파평윤씨묘(멧돼지가)

 

무덤과 알바위?

 

안부/둠벙(능성에 이런곳이)

 

6. 오는길

   - 천포초교(15:42) - 경주 고속터미널앞(16:00) : 350번 시내버스

   - 경주(16:05) - 부산(16:55) : 아성여객(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