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범어삼기(梵魚三奇) 산행기록 (부산 금정구)
1. 산행일 : 2016. 10. 02(일)
2. 오른산 : 고당봉(801.5m), 계명봉(599.5m)
3. 무명 외2
4. 산행구간
10:05 범어사입구 - 10:32 원효암입구 - 10:40 의상대(11:15 출발) - 11:43 원효석대 - 12:27 북문 -
12:47 고당샘 - 12:58 금샘 - 13:10 남근석 - 13:19 금샘 - 13:31 고당봉 - 14:28 사배고개 -
14:49 계명봉 - 15:05 계명암 - 15:16 청련암입구 - 15:28 범어사입구
부산 금정산 범어사 주위에 세 가지 기이한 범어삼기(梵魚三奇)란 보물이 있어 지도 한 장만 딸랑 들고 찾아 나서본다. 범어삼기(梵魚三奇)란 원효석대(元曉石臺 525m), 암상금정(巖上金井 710m), 자웅석계(雌雄石鷄 450m)이다. 하지만 원효석대(元曉石臺)도 어느 것인지 의문이 가고 금샘 아래의 남근석도 비슷한 것만 보고 왔다. 그리고 마지막 계명암의 자웅석계(雌雄石鷄)에 등산객이 앉아있어 촬영을 하지 못한 게 아쉬움으로 남아 후일 다시 한 번 역순으로 찾아볼까한다.
산행지도
금정산 고당봉 정상석
범어사 입구에서 부터 울창한 소나무가
금정산 숲속 둘레길 안내도가 범어사 입구에 세워져 있다
널리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긴 범어사 보제루(普濟樓)
원효암 가는길
범어사 계곡의 바위
원효암 입구
의상대 가는길
원효암 입구 왼편에 위치한 금정산 최고 전망대인 의상대의 조망(義湘望海)
의상대에서 바라본 부산시가지 뒷편 오른쪽이 장산
원효암
법문을 듣기 위여 법당에 가지런하게 놓인 신발들
이곳에도 투구꽃이 피었다
물봉선
원효암 서편 삼층석탑
원효암 일주문
원효암 입구의 편백숲
원효암 동편 삼층석탑
원효석대 주위의 기암
원효석대 주위의 기암
원효석대 주위의 기암
범어 제2기인 원효석대(元曉石臺)
기암에서 바라본 장군봉(왼편)과 계명봉(오른쪽) 아래로 보이는 범어사
원효암
갈림길의 이정표
금정산성과 멀리 금정산 최고봉인 고당봉
금정산성과 고당봉
금정산성 북문
금정산 북문에 위치한 세심정(샘터)
금샘 가는길
고당샘
금샘 정면으로 금정산성 북문과 원효봉
범어 제1기인 암상금정(巖上金井) 즉 금샘
금샘이 있는 곳에서 바라본 장군봉 방향
금샘이 있는 곳에서 바라본 계명봉 방향
금샘이 있는 곳에서 올려다본 고당봉
남근석이라고 담아온게 비슷하긴 한데 아니다
고당봉 정상부
지난 2016년 8월1일 낙뢰를 맞은 금정산 고당봉의 정상석
고당봉 정상의 옛 모습
고당봉에서 내려다본 주능선 오른편 뒤가 장산
고당봉에서 내려다본 부산의 고층빌딩과 파류봉 오른쪽이 백양산
고당봉에서 내려다본 북문과 주능선
고당봉에서 내려다본 외편 낙동강과 물금 신도시 뒤로 오봉산과 원동 토곡산
가을 냄새
뒤 돌아본 고당봉
뒤 돌아본 고당봉
사배고개
사배고개의 이정표
금정산 계명봉에서 만난 단풍취(14:41)
계명봉 정상
계명봉 정상부
계명봉 아래에서 내려다본 범어사
이곳 이정표 바로 아래에 범어 제3기인 자웅석계(雌雄石鷄)가 자리한다
계명암
가을이 내려 앉았다
계명암 보덕굴
계명암 종무소
계명암
계명암 일주문
계명암 일주문
청련암 입구의 이정표
범어사 경내 도로
'근,원교산행 > 근교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사하 두송반도 산행기록 (2016. 12. 11) (0) | 2016.12.15 |
---|---|
경남 밀양, 울산 울주 천황~재약산 산행기록 (2016. 10. 29) (0) | 2016.10.30 |
경남 양산, 울산 울주 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2016. 09. 13) (0) | 2016.09.14 |
경남 양산, 밀양 매봉(2016. 08. 05) (0) | 2016.08.05 |
경남 양산 큰골산(2016. 07. 31) (0) | 2016.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