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맷길 5-2, 5-3 / 부산신항입구~눌차교~연대봉~지양곡~구릉능~눌차도~국수봉~천가교 산행기록
1. 걸은날 : 2024. 11. 28(목)
2. 오른산 : 연대봉(458m), 국수봉(138.9m)
3. 무명
4. 가는길
- 06:10 부산원동역 출발 - 교대역 - 07:03 하단역 도착(전철 동해/1호선)
- 07:20 하단역 출발 - 교대역 - 07:57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도착(2000번 버스)
5. 걸은구간(구간거리 : 25.5km / 미세먼지:좋음)
08:00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 08:19 용원변전소 – 08:37 눌차교 – 08:58 선창마을 – 09:15 가덕도동행정복지센타 – 09:25 천가초등학교 – 09:53 부산가덕도국가관리묘역갈림길 – 10:05 천성치 – 10:15 안부 - 10:46 연대봉(△김해24) - 11:23 지양곡 – 11:43 대항소희네집 – 11:55 대항새바지 – 12:46 어음포초소갈림길 – 13:09 누릉능 – 13:30 누릉령 – 13:40 한아름사슴농장 – 14:00 샛바람길 – 14:11 동선새마지 – 14:47 국수봉 – 15:05 정거마을회관 – 15:30 선창마을
오늘은 갈맷길 가덕도 구간을 걸어 전 구간을 마무리 하려고 집을 나선다. 이른 아침에 동해선 전철 부산 원동역에서 출발하는 첫 차를 타고 교대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 하단역에서 내린다. 이어 하단 전철역에서 거제로 가는 2000번 버스로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 앞에서 갈맷길 5-2구간을 이어간다. 견마교를 건너면서 떠오르는 건 10년 전 부산시계(釜山市界)를 걸을시 지난 곳이었으니 세월은 벌써 10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이어 우리나라에서 물동량이 가장 많고 환적항 세계 2위 및 주당 노선수 세계 2위를 자랑하는 부산신항(釜山新港) 앞을 지나 가덕도의 출발이자 마무리인 지점인 선창마을에 닿는다.
이곳 선창마을에서 갈맷길 5-2구간과 5-3구간의 갈림길로 잠시 고민에 빠져든다. 신호항에서 이어온 5-2구간을 마무리 하지도 않고 5-3구간을 걷다 다시금 5-2구간을 잇는다는 게 이치에 맞지 않겠다고 여겨져 5-2구간을 계속하여 이어가기로 하였다. 성북마을을 지나 가덕도 척화비(加德島 斥和碑)가 있는 천가초등학교에 들어선다. 이곳에 세워진 척화비는 조선 말 고종 때 섭정(攝政)의 자리에 있었던 흥선 대원군이(興宣 大院君)이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신미양요(辛未洋擾)를 격은 뒤에 세운 비석이다. 척화비에는 ‘양이침범 비전측 화주화매국(洋夷侵犯 非戰則 和主和賣國)’으로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였는데 싸우지 않으면 곧 화의하는 것이요, 화의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
천가초등학교를 지나 연대봉 오름길에서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왼쪽으로 동선소류지와 뒤로는 가덕도 천가동이 내려다보인다. 소망보육원과 부산가덕도 국군용사 충혼탑과 국가관리묘역갈림길을 지나 비포장 임도를 따라간다. 임도 고갯마루 매봉 갈림길에서 비포장 임도 따라 내려서면 거가대교를 조망할 수가 있는 조망처가 나온다. 내려선 어음포 갈림길 안부의 산불초소를 지나 봉수대가 있는 가덕도 최고봉인 연대봉에 닿아 주위의 조망을 즐긴다. 지양곡에 내려서고 대항새바지를 지나 가덕도 남쪽 해안 산길을 꾸불꾸불 오르내린다. 오르내림이 심하니 자연적 체력소모도 심한 편이다. 어음포와 누릉능을 지나 힘겹게 누릉령을 올라선다.
한아름 사슴농장을 왼쪽에 끼고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샛바람 길을 만난다. 동선새바지를 지나 동선방조제를 걷는데 바람이 가주 거칠게 불어와 모자를 벗고 걸을 정도다. 눌차도에 들어서면 끝인 줄 알았는데 아니올시다. 눌차도의 최고봉(最高峰)인 국수봉(138.9m)을 올라야만 했다. 까짓 140m 가량이 뭔 대수냐겠지만 해발 고도로 오롯이 발품을 팔아 0m에서 올라야 하는 고도와, 제법 장거리 산행에 지쳤기에 더욱더 어려움이 있었다. 정거마을과 어린이들이 뛰어 놀아야할 눌차초등학교의 운동장에는 무성한 잡초만 흩날리는 폐교 모습을 쓸쓸히 바라보며 갈맷길 전 구간을 마무리한다.
산행지도
산행지도
산행트랙
가덕도 연대봉 정상
집에서 전철과 버스를 갈아타고 2시간여 걸려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청앞에 도착 갈맷길 마지막 구간을 출발한다(08:00)
오래전에는 여객선을타고 가덕도를 오갔지만 부산신항만이 들어서고 육지화로 변한 가덕도가 바다건너 보인다(08:04)
왼쪽은 가덕대교이고 오른쪽은 부산신항만이며 중앙이 오늘 오를 가덕도 연대봉(08:05)
왼쪽은 신항으로 가는 철길과 오른쪽은 녹산대교를 건너면 오른쪽으로 견마도가 보인다(08:12)
부산신항만 HPNT 컨테이너(08:46)
선창마을 입구의 갈맷길 이정표와 가덕도관광안내도(09:53)
천가교 입구의 갈맷길안내도(08:56)
선창마을 표석(08:58)
선창마을의 갈맷길안내도(09:00)
성북IC 갈림길의 갈맷길 이정표(09:15)
성북마을 표석(09:17)
천가초등학교의 가덕도 척화비(09:25)
가덕도 척화비(加德島 斥和碑)
척화비는 조선 말 고종 때 섭정(攝政)의 자리에 있었던 흥선 대원군이(興宣 大院君)이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신미양요(辛未洋擾)를 격은 뒤에 세운 비석이다
연대봉 오름길에서 내려다본 동선소류지와 가덕도 천가동 (09:35)
소양보육원(09:46)
연대봉 오름길에서 내려다본 소망보육원과 죽도(09:48)
부산가덕도 국군용사 충혼탑과 국가관리묘역갈림길
비포장 임도를 따라간다(09:56)
연대봉 오름길에서 내려다본 가덕도(09:57)
연대봉 오름길에서 내려다본 가덕도 천가동과 오른쪽은 마지막 구간인 눌차도와 국수봉이 조망된다(09:57)
마지막 단풍이 발걸음을 가볍게 만든다(10:04)
오른쪽으로 거가재교와 멀리 거제도가 길게펼쳐진다(10:09)
가덕도 갈맷길 5-2구간중 거가대교를 잘 볼 수 있는 장소(10:09)
왼쪽 매봉을 끼고 안부로 내려간다(10:11)
어음포 갈림길 안부의 산불초소(10:15)
휴게시설을 보수하기 위해 무거운 등짐을 지고 오르시는 분(10:35)
연대봉 직전 조망처에서 바라본 부산신항만과 오른쪽은 녹산공단(10:39)
연대봉 직전 조망처에서 바라본 오른쪽 해변으로 진행할 갈맷길이 내려다 보이고 멀리 신호와 명지신도시(10:39)
연대봉 직전 조망처에서 바라본 오른쪽 해변이 어음포 방향이고 멀리는 다대포 몰운대가 조망된다(10:39)
올려다 보이는 연대봉 정상(10:40)
갈맷길 안내도(10:43)
가덕도 연대봉 정상의 봉수대(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의 봉수대(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의 대삼각점(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의 남서쪽 조망도/거제도 방향(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에서 바라본 거가대교 건너로 거제도가 조망된다(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에서 바라본 천성마을 오른쪽 멀리 창원시 진해구가 조망된다(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의 서쪽 조망도/거가대교와 거제도 방향(10:46)
가덕도 연대봉 정상에서 바라본 외항포항 뒤로 가덕도 최남단의 국수봉 조망된다(10:46)
연대봉 남서쪽에 우뚝솟은 바위 암봉(10:46)
연대봉 정상의 갈맷길 안내도(10:50)
연대봉 하산길에서 바라본 국수봉 방향(11:03)
연대봉 하산길에서 내려다본 지양곡과 거가대교가 보인다(11:13)
연대봉 하산길에서 내려다본 가덕휴게소와 거가대교가 보인다(11:13)
지양곡의 갈맷길 안내도(11:23)
지양곡에서 대항마을까지 임도를 따라간다(11:31)
무슨 열매?(11:37)
대항항 저멀리 바다 건너가 거제도이다(11:39)
가덕도 맛집으로 이름난 소희네집(11:43)
대항새바지 직전의 갈맷길 안내도(11:48)
대항새바지 직전에서 올려다본 국수봉(11:50)
대항새바지에서 올려다본 연대봉(11:55)
대항새바지의 등대(11:55)
대항새바지의 해변(11:55)
대항새바지에서 동선새바지 가는 해변길(11:57)
누릉능 가는길에서 뒤 돌아본 대항새바지와 뒤로는 국수봉(11:58)
지을 뛰쳐나와 야생화된 염소 어미(12:02)
기암(12:15)
갈맷길 이정표(12:20)
어음포초소 갈림길의 이정표(12:46)
어음포초소 갈림길의 쉼터(12:46)
어음포초소 갈림길의 그네(12:46)
어음포 주변의 해변풍광(12:54)
누릉능의 갈맷길 안내도(13:09)
누릉능 해안절경과 소나무(13:09)
누릉능 해안절경(13:09)
해안절경과 소나무(13:11)
누릉령의 이정표와 정자(13:30)
한아름 사슴농장(13:40)
동선동 마을이 내려다 보이고 건너가 갈맷길 가덕도 구간의 마지막인 눌차도이다(13:57)
샛바람길(14:00)
왼쪽은 죽도이고 오른쪽은 눌차도(14:02)
동선새바지와 동선방조제를 지나 저곳 눌차도로 향한다(14:02)
동선새바지에서 바라본 부산신항만(14:11)
동선새바지와 가덕 대구/겨울이 다가오니 대구탕 생각이(14:11)
동선방조제에서 바라본 명지신도시와 낙동정맥의 끝자락인 몰운대가 오른쪽으로 조망된다(14:12)
동선방조제에서 바라본 낙동정맥의 끝자락인 몰운대와 오른쪽은 동선새바지 선착장(14:12)
동선방조제에서 바라본 갈마봉 오른쪽은 부산신항(14:15)
동선방조제에서 바라본 눌차도 끝자락과 진우도 뒷편 오른쪽은 다대포와 몰운대다(14:15)
눌차도에서 바라본 응봉산과 오른쪽은 천가동 방향으로 오늘 진행한 곳이다(14:23)
물이 빠진 갯펄 위에 뒹구는 어선과 죽도 뒤로는 갈마봉에서 매봉으로 향하는 능선이다(14:23)
눌차도에서 바라본 부산신항(14:23)
눌차도의 최고봉(最高峰)인 국수봉 오름길의 이정표(14:35)
눌차도 국수봉 정상(14:47)
눌차도 국수봉 정상의 국수당(14:47)
편백 숲길(14:49)
눌차도에서 바라본 응봉산과 뒤로 멀리 연대봉도 조망된다(14:49)
무적해병 주둔지의 천가교 2.85km를 알리는 이정표(14:56)
정거마을에서 바라본 명지 신도시와 오른쪽은 낙동강 하구 삼각주인 진우도(15:02)
정거마을에서 바라본 양식장 시설과 녹산공단(15:11)
정거마을에서 바라본 양식장 시설과 오른쪽은 명지신도시(15:11)
정거마을에서 바라본 양식장의 지주대(15:16)
어린이들이 뛰어 놀아야할 운동장에는 잡초만 무성한 눌차초등학교의 폐교 모습(15:22)
선창마을 입구의 가덕도 관광안내도/선창마을에 도착하면서 갈맷길 전 구간을 마무리 한다(15:30)
6. 오는길
- 15:55 가덕도 선창마을 출발 - 16:50 하단역 도착(20번 마을버스)
- 16:58 하단역 출발 - 동래역 - 17:53 명장역 도착(전철 1/4호선)
'근,원교산행 > 갈맷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맷길 5-1, 5-2 / 낙동강하굿뚝~을숙도~명지오션시티~신호대교~신호항~신항입구(부산 사하, 부산 강서) (12) | 2024.10.17 |
---|---|
갈맷길 6-1 / 도시철도구포역~삼락생태공원~낙동강대교~낙동강하굿둑(부산 북구, 사상구, 사하구) (12) | 2024.09.30 |
갈맷길 6-3, 6-2 / 어린이대공원~선암사~주례정~운수사~도시철도구포역(부산 진구, 부산 사상, 부산 북구) (3) | 2024.08.30 |
갈맷길 6-4 / 금정산성동문~금정산성서문~부산화명수목원~도시철도구포역(부산 금정, 부산 북구) (3) | 2024.08.20 |
갈맷길 7-2, 7-1 / 노포동고속터미널~범어사~금정산성북문~동문~산성고개~남문~만덕고개~어린이대공원(부산 금정, 동래, 북, 부산진구)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