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교산행/섬산행

비진도외항선착장~망부석전망대~미인전망대~흔들바위~선유봉~노루여전망대~비진암~비진도해수욕장~내항선착장~외항선착장(경남 통영)

무명(無 名) 2025. 4. 6. 11:52

비진도외항선착장~망부석전망대~미인전망대~흔들바위~선유봉~노루여전망대~비진암~비진도해수욕장~내항선착장~외항선착장 산행기록

 

1. 산행일 : 2025. 04. 05(토)

2. 오른산 : 선유봉(312.5m)

3. 무명(부산푸르나산악회 30명)

4. 가는길

     - 06:45 부산 동래 출발 - 08:45 통영항여객선터미널 도착(오색관광) 

     - 09:40 통영항 출발 - 10:27 비진도외항선착장 도착(한솔2호)  

5. 산행구간(산행거리 : 9.9km  /  미세먼지 : 좋음)

10:30 비진도외항선착장 10:58 망부석전망대 11:05 미인전망대 11:09 흔들바위 11:18 선유봉 11:40 노루여전망대 11:48 갈치바위 11:55 비진암 12:18 비진도해수욕장/몽돌해변 12:22 외항마을입구 13:00 내항선착장 13:20 비진배수지(13:40 출발) - 13:54 비진도해수욕장 14:00 외항선착장

 

오늘은 부산푸르나산악회를 따라 경남 통영시 한산면의 비진도(比珍島)로 간다. 지난주에 찾았던 낭도(狼島)는 연육교와 연도교로 이어졌지만 이번에는 선편(船便)을 이용하여야만 찾을 수가 있는 곳이다. 부산 동래에서 645분에 출발한 버스가 통영항여객선터미널에 도착하니 2시간 걸렸고, 비진도행 배편은 거의 1시간 후인 940분에 출항한다니 한동안 기다린다. 오늘 비예보가 있긴 하였지만 출발할 때 떨어지지 않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 여겨진다. 한 시간여 기다려 승선한 한솔2호로 통영항을 출항하여 50여분 걸려 비진도 내항선착장에서 승객을 내리고 선유도 외항선착에 도착한다.

 

선유도 외항선착에 도착하여 비진도 산호길 게이트를 통과하여 곧장 선유봉으로 향한다. 너덜 길을 지나면서 서서히 오름길이 시작되고 제법 가파르게 올라가면 망부석전망대에 닿는다. 왼쪽 미인전망대 방향으로 망부석이 보이고 정면으로 용초도와 추봉도와 그곳 뒤 왼쪽 큰 섬이 한산도이다. 소사나무 군락지를 지나 미인전망대에 오르니 바로 아래 비진도 뒤로 용초도와 한산도와 멀리는 오늘 출발한 통영이 조망된다. 잠시 내려섰다 흔들바위를 지나 정상에 데크 전망대가 설치된 선유봉 정상에 도착한다. 조망이 여의치 않아 내부지도와 추도 정도만 보일뿐이다.

 

정상에서 한동안 내려서면 비진도 전망대로 오곡도와 연대도가 보인다. 비진도 전망대에서 5분여 더 내려가면 노루여 전망대로 왼편 연화도에서 우도와 욕지도로 그리고 외부지도가 보이고 왼편의 해안 바위는 뛰어난 한 폭의 동양화다. 설핑이치(雪風峙)와 뒤로 왼쪽에서 외부지도와 내부지도 그리고 오른쪽 추도를 지나 연대도와 오곡도를 조망하고 비진암을 지나 비진도 산호길 게이트를 통과 하여 비진도해수욕장에 닿는다. 이곳 비진도는 쌍둥이처럼 닮은 2개의 섬이 모랫길 하나로 아슬아슬 이어지는 섬으로 모랫길은 길이가 550m 정도로 한쪽은 고운 모래이고, 다른 한쪽은 몽돌로 이루어진 신비한 해변이다. 몽돌과 모래사장 사이에 차 한 대가 겨우 지나다니는 길이 놓여 있는 곳을 통과하여 선유도에서 비진도로 향한다.

 

표석이 세워진 비진도 외항마을 입구를 지나 오른쪽 비진도 둘레길을 따라가면서 뒤 돌아보니 조금 전 올랐던 선유도와 선유봉이 보인다. 특히 이곳 바깥섬인 선유도와 안섬인 비진도를 두고, 안섬과 바깥섬이 마치 여인의 가슴을 닮았다 해서 미인도라고도 불린다고 한다. 내항마을을 내려다보며 마을에 들어서고 비진내항을 지나 출발지점인 외항선착장에 도착하며 오늘 짧은 산행을 마무리한다. 한 시간 가량 기다렸다 통영항행 선편에 올라 통영항에 도착하니 가랑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오늘은 산악회에서 저녁식사를 식당식이 아닌 회무침으로 하산주를 한다며 비를 피할 수 있는 충청건어물로 이동 실내에서 마무리를 하고 부산으로 향한다.

 

산행트랙

 

비진리 외항 선착장

 

부산 동래에서 6시45분에 출발한 버스가 2시간 걸려 통영항 여객선터미널에 도착한다(08:45)

 

통영항 여객선터미널 바로 앞쪽은 통영의 명품시장인 서호시장이다(08:50)

 

오늘 통영시 한산면 비진도 향할 선편인 한솔2호(09:30)

 

한산면 비진도로 출항한 한솔2호에서 뒤 돌아본 통영항(09:42)

 

한솔2호에서 뒤 돌아본 통영(09:43)

 

한솔2호에서 뒤 돌아본 통영항(09:43)

 

한솔2호에서 바라본 통영의 미륵산(09:42)

 

한솔2호에서 바라본 스텐포드호텔과 통영국제음악당(09:49)

 

중앙의 미륵산 케이블카의 모습이 점점 멀어진다(09:58)

 

대혈도와 소혈도 뒤로는 한산도가 보인다(10:03)

 

용초도가 보인다(10:08)

 

용초도 오른쪽으로 오늘 가려는 비진도가 가까이 다가온다(10:10)

 

비진도가 점점 가까이 다가온다(10:11)

 

한산도가 점점 멀어지고(10:15)

 

비진도 내항선착장과 내항마을(10:19)

 

비진도 내항선착장(10:19)

 

비진도 내항선착장에서 외항선착장으로 가면서(10:20)

 

점점 멀어지는 비진도 내항선착장과 내항마을(10:20)

 

등대가 있는 무인도에 낚시꾼이 보인다(10:21)

 

비진도 내항선착장에서 선유도 외항선착장으로 가면서 바라본 비진도의 대동산(10:20)

 

비진도 내항선착장에서 선유도 외항선착장으로 가면서 바라본 선유도의 선유봉(10:22)

 

비진도 내항선착장에서 선유도 외항선착장으로 가면서 바라본 비진도의 대동산(10:23)

 

선유도의 선유봉과 오른쪽은 충복도(10:20)

 

비진도의 비진도해수욕장과 펜션들(10:24)

 

충복도(10:25)

 

비진도의 비진도해수욕장과 펜션들(10:25)

 

선유도의 외항선착장에 도착하여 올려다본 오늘 오르려는 선유봉(10:26)

 

선유도에 도착한 한솔2호(10:28)

 

선유도에 하선시킨 한솔2호는 곧장 딴곳으로 떠난다(10:28)

 

비진외항 여객선터미널과 뒤로는선유봉(10:30)

 

한려해상 바다백리길 종합안내도(10:30)

 

통영시 한산면 비진리 외항마을 표석/이곳에서 산행을 시작한다(10:30)

 

선유봉 오른길에서 뒤 돌아본 비진도해수욕장과 뒤로는 비진도의 최고봉인 대동산(10:33)

 

선유봉 1.6km를 알리는 이정표(10:36)

 

비진도 산호길 게이트(10:37)

 

너덜길을 지나면서 서서히 오름길이 시작된다(10:46)

 

왼쪽으로 돌을 쌓았는데 너무좁아 집터는 아닌 듯 한데 쉼터로 만들었나(10:51)

 

망부석전망대 갈림길의 이정표(10:57)

 

망부석전망대 입구에 시(詩) 두 편을 적어 두었다(10:57)

 

망부석전망대 조망도(10:58)

 

망부석전망대의 왼쪽으로 망부석이 보인다(10:58)

 

망부석전망대에서 바라본 용초도와 추봉도 뒤 왼쪽 큰섬이 한산도이다(10:58)

 

소사나무 군락지(11:04)

 

비진도 산호길 미인전망대(11:05)

 

미인전망대에서 바라본 비진도 뒤로 용초도와 한산도(11:05)

 

미인전망대에서 바라본 용초도 뒤로 멀리 거제도가 조망된다(11:05)

 

미인전망대에서 바라본 오른쪽은 매물도(11:05)

 

미인전망대의 이정표(11:05)

 

흔들바위(11:09)

 

119표지목 한려 34-02(11:10)

 

선유봉 직전 오름길의 계단(11:12)

 

선유봉 직전의 너럭바위(11:12)

 

이정표를 겸한 선유봉 정상 표지목(11:18)

 

선유봉 정상부(11:18)

 

선유봉 정상부의 데크 전망대(11:18)

 

선유봉 정상 데크 전망대의 조망도(11:18)

 

선유봉 정상 데크 전망대에서 바라본 내부지도와 추도(11:18)

 

선유봉 정상에서의 내림길은 소사나무 군락터널이다(11:24)

 

선유봉 정상에서의 내림길은 소사나무 군락터널이다(11:24)

 

비진도 전망대의 조망도(11:35)

 

비진도 전망대에서 바라본 외부지도와 내부지도(11:35)

 

비진도 전망대에서 바라본 오곡도와 왼편 뒤는 연대도(11:35)

 

선착장 2.2km를 알리는 이정표(11:37)

 

노루여 전망대의 조망도(11:40)

 

노루여 전망대에서 바라본 왼쪽 연화도에서 우도와 욕지도로 이어지고 앞쪽은 외부지도이다(11:40)

 

노루여 전망대에서 바라본 왼쪽의 바위(11:40)

 

설풍치로 내려가는 해안길(11:41)

 

설핑이치(雪風峙) 뒤로 왼쪽에서 외부지도와 내부지도 그리고 오른쪽 추도를 지나 연대도와 오곡도이다(11:42)

 

멀리 왼쪽은 추도이고 오른쪽은 연화도이다(11:42)

 

멀리 왼쪽은 내부지도이고 오른쪽은 추도(11:42)

 

연화도에서 우도와 욕지도로 이어지고 앞쪽은 외부지도이다(11:40)

 

수포마을 가는길의 이정표(11:47)

 

해안절경(11:47)

 

 

해안절경과 내부지도와 오른쪽은 추도(11:47)

 

갈치바위(11:48)

 

설핑이치/雪風峙(11:48)

 

설핑이치(雪風峙) 왼쪽으로 외부지도와 내부지도(11:48)

 

연화도에서 우도와 욕지도로 이어지고 앞쪽은 외부지도이다(11:40)

 

돌담장(11:51)

 

비진암과 동백(11:55)

 

비진암과 동백(11:55)

 

왼쪽으로 오곡도와 연대도가 조망된다(11:56)

 

동백나무 군락지(11:56)

 

돌담장의 이정표(11:57)

 

멧돼지의 먹이 탐색(11:59)

 

너덜길과 동백나무 군락지(12:04)

 

범여와 충복도 그리고 왼쪽 멀리는 미륵도의 미륵산(12:08)

 

왼쪽으로 보이는 오곡도(12:09)

 

비진도 산호길 게이트(12:13)

 

선유도에서 건너로 보이는 비진도로 간다(12:13)

 

오곡도와 오른쪽은 충복도(12:13)

 

외항선착장 너머로는 선유도(12:15)

 

동백꽃이 만개하였다(12:15)

 

오곡도와 오른쪽은 충복도(12:15)

 

뒤돌아본 선유봉(12:17)

 

포토죤과 몽돌해변(12:19)

 

비진도 해수욕장과 오곡도와 오른쪽은 충복도(12:19)

 

오곡도와 오른쪽은 충복도 포장길 따라 비진도로 간다(12:19)

 

오곡도와 오른쪽은 충복도를 잇는 몽돌해변(12:19)

 

오곡도와 오른쪽은 충복도(12:21)

 

비진도 외항마을 입구(12:22)

 

외항마을에서 뒤 돌아본 선유도와 선유봉(12:24)

 

비진도 둘레길에서 뒤 돌아본 선유도와 선유봉(12:31)

 

방목된 흑염소(12:35)

 

내항마을이 내려다 보이고 그곳 뒤로는 오곡도와 학림도 그리고 멀리는 통영의 미륵도이다(12:54)

 

한산초등학교 비진분교/1944. 4. 1 개교하여 1,02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2012. 3. 1 폐교(12:57)

 

내항마을의 위령탑(13:00)

 

비진내항(13:00)

 

비진내항(13:00)

 

비진내항과 오곡도(13:00)

 

비진 내항마을의 팽나무(13:06)

 

비진 내항마을의 동백(13:09)

 

학림도와 오른쪽 뒤는 미륵도의 미륵산이고 멀리 통영시가지(13:10)

 

비진내항과 멀리 통영항이 보인다(13:10)

 

오른쪽으로 학림도와 미륵도(13:10)

 

학림도 뒤로 미륵산이 보이고 오른쪽은 통영(13:13)

 

충복도(13:20)

 

비진도해수욕장 뒤로 오늘 올랐던 선유도의 선유봉(13:47)

 

비진도해수욕장 뒤로 오늘 올랐던 선유도의 선유봉(13:53)

 

비진도해수욕장 모래사장과 멀리는 욕지도이고 외부지도와 내부지도 그리고 충복도(13:54)

 

비진도해수욕장 모래사장과 충복도(13:54)

 

비진외항 여객선터미널(14:00)

 

비진외항 여객선터미널에서 바라본 비진도의 대동산(14:00)

 

비진외항 여객선터미널에서 바라본 오곡도(14:00)

 

비진외항 여객선터미널에서 바라본 오곡도와 총북도(14:00)

 

비진외항 여객선터미널과 선유봉(14:00)

 

통영항으로 가는 선편이 비진외항으로 입항한다(15:10)

 

비를 피하여 충청건어물로 이동(16:32)

 

비가 내려 충청건어물 점포 안으로 이동하여 하산식(16:35~17:40)

 

비가 내려 충청건어물 점포 안으로 이동하여 하산식(16:35~17:40)

 

비가 내려 충청건어물 점포 안으로 이동하여 하산식(16:35~17:40)

 

오늘 산행에서 만난 야생화(현호색)

 

오늘 산행에서 만난 야생화

 

오늘 산행에서 만난 야생화(제비꽃과 현호색)

 

오늘 산행에서 만난 야생화(현호색)

 

6. 오는길

     - 15:20 비진도외항선착장 출발 - 16:08 통영항여객선터미널 도착(한솔3호)  

      - 17:45 통영항 출발 - 20:02 부산 도착(오색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