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산리~자옥산~도덕산~천장산갈림~봉좌산~지게재~정혜사지13층석탑~독락당 산행기록
1. 산행일 : 2024. 12. 28(토)
2. 오른산 : 자옥산(570m), 도덕산(708m), 봉좌산(626m)
3. 무명(부산토요자유산악회 44명)
4. 가는길
- 07:25 부산 출발 - 09:30 안강읍 옥산리 도착( 태평양고속관광 )
5. 산행구간(산행거리 : 16.8km / 미세먼지 : 좋음)
09:35 옥산리 – 10:20 자옥산 – 10:32 안부 – 11:04 도덕사갈림길삼거리 – 11:05 도덕산 – 11:11 삼각점 – 11:15 철탑 – 11:18 낙동정맥길합류 – 11:29 천장산갈림길삼거리 – 11:40 임도/정자/옥산저수지갈림길 – 12:06 522봉 – 12:37 정자 – 12:51 서봉정/낙동정맥이탈 – 13:05 봉좌산 – 13:38 지게재 – 13:50 관음사 – 14:03 민내경로당 – 14:35 옥산저수지 – 14:50 정혜사지13층석탑 – 15:00 독락당
오늘은 부산토요자유산악회를 따라 경북 경주, 영천, 포항시에 걸쳐있는 자옥산~도덕산~봉좌산~어래산 산행에 나선다. 산행은 경주시 안강읍 옥산1리의 산장식당 입구에서 출발하여 S코스는 4개산을, A코스는 봉좌산까지 3개산을, 그리고 B코스는 도덕산 까지의 2개산을 걷는 것으로 체력에 맞게 안배를 하였다. 부산에서 07시25분에 출발한 산악회 버스가 산장식당 앞에 2시간가량 걸려 도착한다. 곧장 산행 채비를 갖추고 자옥산을 향하여 산행을 시작한다. 처음에는 완만하게 오른다만 세찬바람에 체감기온이 상당히 낮아 뼛속까지 차가움에 온 몸이 옴츠려 든다.
한동안 올라서니 오른쪽 나뭇가지 사이로 도덕산이 고개를 바짝 치켜들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이어 바위지대를 올라서면 조망처로 건너편 봉좌산을 지난 어래산이 조망된다. 자옥산 바로 아래의 삼거리를 지나면 첫 봉인 자옥산 정상이다. 정상석 오른쪽에 돌탑을 쌓아놓았는데 돌탑 상부에는 옥산 산수회(玉山 山水會)란 표석도 보인다. 자옥산에서 고도 약170m가량 내려서면 안부로 정혜사지 13층 석탑 갈림길이다. 이곳에서 다시금 고도 300m가량 올려야만 도덕산 정상이다. 오름길 왼쪽으로 낙동정맥 주능선에서 조금 벗어난 삼성산이 조망되고 이어 도덕산에 도착하는데 정상석이 모두 세 개다. 도덕산 정상부는 조망을 즐길 수가 없다만 몇 걸음 움직이면 오른쪽으로 조망이 열리는 곳이 나온다. 가야할 봉좌산과 뒤쪽 멀리는 비학지맥의 비학산이, 봉좌산에서 지게재를 지나 어래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옥산저수지 아래 독락당까지 내려다보인다.
낙동정맥루로 내려서는 능선의 길섶에 박혀있는 삼각점과 철탑(국가지점번호 마마 4759 8242)과 자연쉼터 아래에서 낙동정맥 주능선과 만난다. 이곳 낙동정맥 능선길을 2003년12월25일 다녀갔으니 벌써 21년이나 훌쩍 지난 셈이다. 10여분 뒤 천장산 갈림길을 지나고, 이어 임도가 능선을 가로 질러가는 낙동정맥루에 내려서는데 산악 사이클 동회회원들의 모습이 보인다. 다시금 오름길로 들어서고 봉좌산 1.5km 이정표가 서있는 약550m 정도 무명봉에서 간단하게 점심식사를 하고 간다. 무명봉에서 내려서는 길은 거의 없어 나뭇가지를 헤치고 진행하면 다시 낙동정맥길과 만나 서봉정에 오른다. 주위의 나뭇가지로 조망은 없는 곳이지만 이곳에서 낙동정맥길과 헤어진다.
오른쪽 무릎도 아파오고 시간적으로 S코스인 어래산까지의 산행이 불가능 하겠다 여겨져서 마음을 접는다. 약30분 정도만 시간이 더 주어졌다면 가능하겠다 여겨졌지만 늦게 하산하여 민폐를 주고 싶지는 않아서 이다. 봉좌산에 오른다. 최고의 조망처로 낙동정맥 운주산 방향에서 낙동정맥 산줄기 휘돌고, 기게면 뒤로 비학지맥이 이어져 비학산을 거쳐 오른쪽으로 흘러 천마산을 지나 우목리 방파제에 잠기는 모습들이 한눈에 보인다. 그리고 남으로는 지게재를 지나 오른쪽으로 휘어져 어래산으로 향하는 산줄기도 조망된다.
가파른 계단을 내려서면 지게재인데 정면은 어래산 방향이나 아쉬움을 뒤로 하고 오른쪽 관음사 방향의 희미한 길로 내려선다. 관음사에 닿으면서 시멘포장길로 바뀌고 옥산저수지 수변포장길을 한동안 휘돌아 간다. 국보 제40호인 경주 정혜사지 13층 석탑을 지나면 보물 제413호로 지정된 독락당(獨樂堂)이다. 이곳 독락당은 여강이씨 옥산 종택(宗宅)으로 조선시대 유학자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지은 별장으로 옥산정사(玉山精舍)라고도 한다. 독락당 주차장에서 오늘 산행을 마무리 한다. 후미가 도착하여 간단하게 돼지고기 수육 몇 점의 안주로 하산주로 송년 산행을 마무리한다.

봉좌산 정상

부산에서 출발한 산악회 버스가 2시간여 걸려 자옥산 들머리인 안강읍 옥산리 산장식당 입구에 도착한다(09:30)

자옥산 들머리인 안강읍 옥산1리 표석(09:30)

자옥산 오름길(09:38)

주위에는 소나무가 빼곡하고 송이채취구역으로 입산금지(09:43)

자옥산 오름길 오른쪽으로 도덕산이 고개를 바짝 치켜들고있다(10:07)

자옥산 직전의 바위들(10:17)

조망처에서 바라본 건너 어래산/오늘 어래산까지 목표이긴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정이 가능하다(10:18)

자옥산 아래 삼거리의 이정표(10:19)

자옥산 정상(10:20)

자옥산 정상(10:20)

안부/정혜사지 13층 석탑 갈림길(10:32)

119표지목 도덕산 03(10:52)

왼쪽으로 보이는 낙동정맥에서 조금 벗어난 삼성산(10:58)

도덕사 갈림길의 이정표(11:04)

오늘 산행중 최고봉/最高峰인 도덕산 정상(11:05)

또 다른 도덕산 정상석(11:05)

또 다른 도덕산 정상석/정상석이 모두 3개이다(11:05)

도덕산 정상부(11:05)

도덕산 정상 바로 아래 조망처에서 바라본 봉좌산과 뒷쪽 멀리는 비학지맥의 비학산이 조망된다(11:08)

도덕산 정상 바로 아래 조망처에서 바라본 봉좌산에서 지게재를 지나 어래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조망된다(11:08)

도덕산 정상 바로 아래 조망처에서 어래산과 옥산저수지 아래 독락당까지 내려다 보인다(11:08)

도덕산 정상 바로 아래 조망처에서 출발지점인 옥산1리가 내려다 보인다(11:08)

길섶에 삼각점이 박혀있다(11:11)

철탑/국가지점번호 마마 4759 8242(11:15)

자연쉼터/널찍한 바위로 쉬어가기 좋은 곳이다(11:17)

낙동정맥길과 만남/2003년12월25일 이곳을 다녀갔으니 21년이 훌쩍 지났다(11:18)

천장산 갈림길의 이정표(11:29)

왼쪽으로 임도가 내려다 보인다(11:39)

임도의 낙동정맥루/옥산저수지 갈림길로 산악자전거를 즐기는 동호인들이 보인다(11:40)

임도의 이정표(11:40)

낙동정맥길에서 조금 벗어는 약550m 정도 무명봉의 이정표/이곳에서 간단히 점심을 먹고 내려간다(12:15~12:25)

정자(12:37)

낙동정맥 트레일 로드 입간판(12:37)

서봉정 직전의 이정표/아직 봉좌산이 500m를 더 가야만 만날수가 있다(12:48)

서봉정 직전의 갈림길(12:49)

서봉정/이곳에서 낙동정맥길과 헤어진다(12:51)

서봉정 정자 위에서 바라본 건너편 운주산 방향(12:51)

서봉정 정자 위에서 바라본 멀리 비학지맥 능선(12:51)

서봉정 정자 위에서 바라본 포항 방향(12:51)

서봉정 정자 위에서 바라본 곧 가려는 봉좌산(12:51)

심복골 삼거리(12:55)

뒤 돌아본 지나온 도덕산이 멀리 보인다(12:58)

지나온 서봉정 방향(13:00)

봉좌산 오름길에서 바라본 낙동정맥 운주산 방향(13:00)

봉좌산 오름길에서 바라본 대구-포항간 고속도로와 기계면 방향(13:00)

봉좌산 오름길에서 바라본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기계면 저멀리 성법령에서 이어지는 비학지맥 주능선이 조망된다(13:00)

봉좌산이 가까이 다가왔다(13:00)

봉좌산 정상부 데크(13:05)

봉좌산 정상부 데크의 포토죤(13:05)

또 다른 봉좌산 정상석(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낙동정맥 운주산 방향(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뒤로 낙동정맥 산줄기(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대구-포항간 고속도로와 기계면 뒤로 비학지맥 산줄기(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비학지맥 산줄기가 오른쪽으로 흘러 천마산을 지나 우목리 방파제에 잠긴다(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지게재를 지나 오른쪽으로 휘어져 어래산으로 향한다(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오른쪽 어래산/하산 시간이 넉넉하지 않아 어래산까지 산행을 아쉽지만 포기한다(13:05)

봉좌산 정상에서 바라본 지나온 자옥산과 오른쪽은 도덕산(13:05)

조망처에서 내려다본 어래산과 민내마을(13:17)

지게재의 봉좌산 숲길 안내도(13:38)

지게재/아쉬움이 남는 어래산 방향(11:38)

지게재/관음사 방향(11:38)

관음사(13:50)

옥산저수지(14:16)

모과(14:45)

소나무와 한옥 찻집(14:45)

국보 제40호인 경주 정혜사지 13층석탑(14:50)

경주 정혜사지 13층석탑/측면(14:50)

경주 정혜사지 13층석탑/정면(14:50)

옥산구곡의 제6곡 폭포암과 제7곡 징심대(14:54)

옥산구곡의 제5곡 관어대(14:56)

경청재/敬淸齋(14:58)

보물 제413호 독락당/獨樂堂(15:00)

보물 제413호 독락당/여강이씨 옥산 종택/宗宅(15:00)
6. 오는길
- 16:20 독락당 주차장 출발 - 18:40 부산 도착(태평양고속관광)
'근,원교산행 > 원교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봉산 주차장~구봉산제1봉~제4봉~구름다리~제5봉~돈내미재~구봉산~바랑재~구봉산 주차장(전북 진안) (0) | 2025.01.17 |
---|---|
진전면 성구사~오봉산~옥수봉~국수봉~적석산~선동치~깃대봉~적석산 주차장(창원 마산합포, 경남 고성) (3) | 2025.01.04 |
오도산휴양림~오도재~문재산/미녀봉~유방봉~눈썹바위~머리봉~유방샘~가조온천(경남 합천, 경남 거창) (2) | 2024.12.24 |
부남면 가당리~베틀봉~갈선산~성골산/금산 갈선산~적벽교(전북 무주, 충남 금산) (0) | 2024.12.22 |
해평면 금산리~상어굴~좌베틀산~베틀재~베틀산~우베틀산~산동읍 동곡공원(경북 구미) (1)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