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교산행/근교산행

삼계리~559봉~911봉~학대산~949봉~문복산~마당바위~삼계리(경북 청도, 경북 경주)

무명(無 名) 2025. 1. 30. 20:49

삼계리~559봉~911봉~학대산~949봉~문복산~마당바위~삼계리 산행기록

 

1. 산행일 : 2025. 01. 30(목)

2. 오른산 : 학대산(963.2m), 문복산(1,014.7m)

3. 무명

4. 가는길

    - 06:25 부산 출발 -  07:10 / 08:40 언양읍  ~ 09:10 운문면 삼계리 도착(승용차)       

5. 산행구간(산행거리 : 10.0km / 미세먼지 : 좋음)

09:15 삼계리 09:53 55909:55 백공묘 10:52 91111:09 89311:23 묵정헬기장 11:32 학대산 11:54 94912:29 삼계리갈림봉 - 12:32 문복산(언양301,1982재설) - 12:55 마당바위(13:03 출발) - 13:07 하늘문바위 13:15 헬기장 14:00 삼계리

 

오늘은 설 다음 날로 홀로 고향을 찾아 부모님과 조부모님의 산소에 술 한 잔 올리고 부근의 산을 다녀오기로 마음을 먹었다. 설 전날까지만 하여도 운문산을 찾을까 하였는데 대중교통이 불편한 문복산으로 급히 바꾸었다. 이른 아침에 집을 나서 고속도로를 달리는데 차량에서 감지되는 이상한 느낌이 있어 서울산 나들목 직전 졸음쉼터에 들러 바퀴를 점검하니 조수석 앞 타이어에 바람이 완전 빠진 상태였다. 비상등을 켜고 서울산 나들목을 나와 언양의 TIRE Q BANK에서 한 시간여 기다려 타이어를 교환하고 삼계리로 간다.

 

언양에서 삼계리로 가는 24번 국도를 달릴 때 1,000m가 넘는 신불산과 간월산 그리고 가지산에는 눈이 하얗게 쌓인 것이 보여 아이젠을 준비하지 않아 산행이 가능할까를 염려하여야만 했다. 운문터널을 통과 삼계리에 도착하니 눈이 그리 많이 보이지를 않아 안도의 숨을 내쉬며 산행에 나선다. 삼계리에서 학대산을 거쳐 문복산을 다녀오는 원점회귀 산행을 하는데 고도가 높아질수록 발목까지 빠지는 눈과 한판 시름하여 승리를 안고 무사히 하산했다.

 

4시간45분에 걸려 산행 후 동곡막걸리 한 통씩 들고 산소를 다녀오고, 미나리로 유명한 한재에 들러 봄 냄새 짙게 풍기는 미나리 한 단 안고 부산으로 돌아온다.

 

산행트랙

 

문복산 정상

 

삼계리에서 문복산으로 오르기전 바라본 황등산에서 왼쪽 쌍두봉으로 이어지는 능선(09:15)

 

문복산 등산안내도(09:16)

 

문복산 이정표/하산길 방향(09:17)

 

들머리를 잘못 찾아 계곡을 건너 반대편의 문복산 등산안내도(09:20)

 

고사목/아직은 눈이 보이지 않는다(09:41)

 

학대산 오름길 오른쪽으로 보이는 쌍두봉(09:49)

 

학대산 오름길 오른쪽으로 보이는 배너미재 저멀리 머리만 내미는 운문산(09:49)

어제까지 운문산을 오르려다 문복산으로 발길을 바꾸었다/운문령에 터널이 뚫리면서 발길이 뜸해진 산이 문복산이다

 

559봉 정상부의 노송(09:53)

 

백공묘비(09:55)

 

조망처에서 바라본 조금전 출발지점인 삼계리에서 신원리를지나 운문댐까지 조망이 가능하다(10:37)

 

조망처에서 바라본 하산 지점인 마당바위 능선 뒤로는 옹강산이다(10:37)

 

조망처에서 바라본 문복산이 보인다(10:37)

 

고도가 높아지니 눈이 쌓여 발목까지 빠져 걸음은 점점 더디어진다(10:41)

 

조망처에서 내려다본 신원리인 생금비리의 국립운문산자연휴양림과 국립청도숲체험관이 내려다 보인다(10:44)

 

국립운문산자연휴양림과 국립청도숲체험관 뒤로는 상운산이 보인다(10:44)

 

고도가 높아지니 눈이 쌓여 발목까지 빠져 걸음은 점점 더디어진다(10:54)

 

아무도 밟지않은 눈길을 밟고 걷는다(10:57)

 

893봉 정상부(11:09)

 

묵정헬기장(11:23)

 

학대산 정상(11:32)

 

두 시간 넘게 눈길따라 힘겹게 올라 학대산 정상에 도착한다(11:32)

 

학대산 정상의 이정표(11:32)

 

학대산 정상에서 바라본 낙동정맥 산줄기와 삼강봉과 백운산이 조망된다(11:33)

 

학대산 정상에서 바라본 아래 경주 산내면 대현리 뒤로 하늘금은 삼강봉과 백운산이 조망된다(11:33)

 

학대산 정상에서 바라본 아래 경주 산내면 대현리 뒤로 고헌산이 높게 보인다(11:33)

 

학대산 정상에서 뒤돌아보니 낙동정맥 신원봉이 내려다 보인다(11:33)

 

학대산 정상에서 바라본 아래 경주 산내면 대현리 뒤로 백운산에서 고헌산으로 이어지는 낙동정맥 주능선이 보인다(11:33)

 

학대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려는 문복산이 흰 눈과함께 저멀리 내다 앉아있다(11:33)

 

학대산 정상에서 바라본멀리 경주의 단석산이 보이고 그곳 오른쪽으로 낙동정맥이 이어진다(11:33)

 

산죽길(12:04)

 

조망처에서 바라본 삼강봉과 백운산(12:22)

 

조망처에서 바라본 고헌산과 오른쪽 능선은 조금전 학대산에서 올라온 능선이다(12:22)

 

조망처에서 바라본 조금전 학대산에서 올라온 능선 뒤로는 상운산이다(12:22)

 

삼계리 갈림길봉(12:29)

 

문복산 직전의 헬기장(12:30)

 

문복산 직전의 헬기장에서 바라본 옹강산(12:30)

 

문복산 정상(12:32)

 

문복산 정상부(12:32)

 

또 다른 문복산 정상석(12:32)

 

문복산 정상의 삼각점(12:32)

 

문복산 정상의 등산로 안내(12:32)

 

119 산악구조 표지목/문복산 05(12:38)

 

개살피골 갈림길의 이정표/마당바위 방향으로 내려간다(12:50)

 

마당바위/양지에 앉아 간단하게 간식을 먹고 내려간다(12:55~13:03)

 

마당바위(12:55)

 

마당바위에서 바라본 쌍두봉 뒤로 가지산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운문산도 조망된다(12:55)

 

마당바위에서 건너편으로 조금전 올랐던 능선이 조망된다(12:55)

 

노송(13:05)

 

하늘문바위(13:07)

 

하늘문바위(13:07)

 

119 산악구조 표지목/문복산 02(13:15)

 

조망처에서 건너편으로 조금전 올랐던 능선이 조망된다(13:17)

 

조망처에서 건너편으로 쌍두봉과 오른쪽 배너미재 뒤로는 운문산이 조망된다(13:17)

 

날머리인 개살피계곡 갈림길의 이정표(13:55)

 

날머리의 등산로 안내도(13:57)

 

날머리부근의 팬션(13:55)

 

6. 오는길

   - 14:10 삼계리 출발 - 14:30/15:05 동곡 - 16:55 부산 도착(승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