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교산행/근교산행

신기마을~466봉~고헌산/서봉~고헌산~고헌사~신기마을(울산 울주, 경북 경주)

무명(無 名) 2025. 3. 20. 11:15

신기마을~466봉~고헌산/서봉~고헌산~고헌사~신기마을 산행기록

 

1. 산행일 : 2025. 03. 19(수)

2. 오른산 : 서봉(1,035m), 고헌산(1,035m)

3. 무명

4. 가는길

    - 07:06 부산원동역 출발 -  08:09  태화강역 도착(동해선 전철) 

    - 08:15 태화강역 출발 -  09:25 신기마을 입구 도착(1713번 시내버스):

5. 산행구간(산행거리 : 9.1km / 미세먼지 : 보통)

09:25 신기마을입구 10:12 466봉조망처 10:44 119표지목고헌산504 11:40 고헌서봉 11:47 조망데크 11:52 고헌산(12:07 출발) - 13:06 고헌사 13:45 신기마을입구

 

오늘도 영남알프스 한 자락인 고헌산을 찾기 위해 집을 나선다. 고헌산(高獻山)은 울주군 상북면에 위치하고 있어 집에서 전철 4/1호선과 시외직행 그리고 울산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것이나, 전철 동해선과 울산시내버스를 이용하는 편이 간편하고 시간도 그리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후자를 선택하기로 한다. 부산원동역에서 출발하여 태화강역을 거쳐 고헌산 입구인 신기마을에 도착하니 2시간20분여 걸렸다.

 

버스에서 내려 신기마을로 들어서니 왼쪽으로 가지산 중봉과 가지산 그리고 쌀바위와 상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정면으로는 고헌산 서봉에서 고헌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펼쳐지는데 어제 내린 눈이 하얗게 쌓인 풍광이 아름답게 다가온다. 그리고 도로에는 살얼음이 얼어 미끄럽기까지 하여 조심조심 발걸음을 내 딛는다. 꼬불꼬불 산길 따라 한동안 올라서면 왼쪽 바위전망대가 나오는데 466봉의 조망 처이다. 주위를 잠시 둘러보고 제법 많은 눈이 쌓인 산길을 30여분 올라서면 왼쪽 캠핑월드에서 올라오는 능선길인 ‘119표지목 고헌산 504’지점으로 이정표가 나온다. 능선길은 바람에 날린 눈으로 깊은 곳은 약1m정도의 눈으로 힘이 들지만 능선 아래를 에돌아가기도 하며 서봉에 올라선다.

 

고헌산 서봉은 낙동정맥 주능선에 있는 산군(山群)으로 해발 약530m 정도의 외항재에서 출발하면 약1시간이면 오를 수가 있으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위의 산군들이 조망되지만 미세먼지와 옅은 안개로 또렷하지 않은 게 아쉬움으로 남는다. 정상석이 서있는 고헌산에서 지도상의 고헌산과 용샘방향으로 가려니 러셀이 이루어지질 않아 그만두고 고헌사 방향으로 내려가기로 한다. 눈과 진흙탕으로 이루어진 가파른 산길을 조심스레 내려서다 한 번 미끄러지고 말았다. 다 내려선 고헌사 입구의 개울에서 깨끗하게 정리하고 신기마을에 도착하면서 산행을 마무리한다.

 

산행트랙

 

고헌산 정상

 

고헌산 들머리인 심기마을 입구(09:25)

 

신기마을로 들어서니 왼쪽으로 중봉(가지산)과 가지산 그리고 쌀바위와 상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펼쳐진다(09:31)

 

신기마을로 들어서니 정면으로 서봉(고헌산)에서 고헌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펼쳐진다(09:32)

 

신기마을로 들어서니 궁근정리 뒤로 고헌산에서 고운산(760.7m)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펼쳐진다(09:32)

 

466봉 조망처(10:12)

 

466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가지산에서 상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0:12)

 

466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왼쪽 신불산에서 간월산 그리고 배내봉을지나 능동산과 가지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0:12)

 

설경과 노각나무(10:26)

 

설경(10:31)

 

119표지목 고헌산504 지점의 이정표(10:44)

 

눈꽃(11:02)

 

눈꽃(11:02)

 

눈꽃(11:03)

 

눈꽃(11:09)

 

눈꽃(11:26)

 

설경(11:31)

 

설경(11:31)

 

설경(11:36)

 

고헌산 서봉 직전의 이정표(11:39)

 

고헌산 서봉(11:40)

 

고헌산 서봉 정상부(11:40)

 

고헌산 서봉 정상에서 바라본 고헌산 방향으로 왼쪽은 낙동정맥 백운산으로 이어진다(11:40)

 

고헌산 서봉 정상에서 바라본 신불산에서 간월산과 배내고개로 이어지는 낙동정맥 주능선(11:40)

 

고헌산 서봉 정상에서 바라본 배내고개에서 능동산과 가지산 그리고 상운산으로 이어지는 낙동정맥 주능선(11:40)

 

고헌산 서봉 정상에서 바라본 운문령에서 문복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1:40)

 

고헌산 서봉 정상에서 바라본 경주시 산내면 대현리 방향 멀리에는 단석산이 자리한다(11:40)

 

고헌산 서봉 정상에서 바라본 고헌산 방향으로 왼쪽은 낙동정맥 백운산으로 이어진다(11:42)

 

설경 뒤로 보이는 고헌산 정상 방향(11:44)

 

고헌산 정상으로 가는 목책길(11:48)

 

뒤돌아본 고헌산 서봉(11:49)

 

고헌산 정상부(11:52)

 

고헌산 정상(11:52)

 

고헌산 정상(11:52)

 

고헌산 정상부(11:52)

 

고헌산 정상의 이정표/고헌사 방향으로 내려가다 점심식사를 하고 간다(11:52~12:07)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낙동정맥 백운산에서 삼강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멀리에는 단석산이 자리한다(11:52)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지도상의 고헌산과 용샘방향(11:52)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고운산으로 내려가는 능선(11:52)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신불산과 간월산 그리고 배내봉으로 이어지는 능선(11:52)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간월산에서 배내봉 그리고 능동산과 가지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1:52)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지산에서 상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1:52)

 

고헌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봉 방향(11:52)

 

고헌사/눈 녹아 흐르는 개울에서 진흑탕에 빠진 신발을 씻고 출발한다(13:06~13:21)

 

고헌사 대웅전(13:06)

 

고헌사 삼성각(13:06)

 

 

6. 오는길 

   - 14:08 신기마을 입구 출발 - 15:13 태화강역 도착(1713번 버스) 

   - 15:48 태화강역 출발 - 16:50 부산원동역 도착(동해선전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