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산온천~학심이골갈림길~쌀바위~가지산~백운산갈림길~아랫재~운문산~함화산~하양리 산행기록
1. 산행일 : 2025. 03. 06(목)
2. 오른산 : 가지산(1,241m), 운문산(1,188m), 함화산(1,107.8m)
3. 무명
4. 가는길
- 06:20 부산 노포 출발 - 06:57 언양읍 도착(푸른교통)
- 07:00 언양 출발 - 07:20 가지산온천 입구 도착(1713번 시내버스):
5. 산행구간(산행거리 : 15.8km / 미세먼지 : 좋음)
07:20 가지산온천입구 – 07:30 보덕사 – 08:50 산불감시탑 – 08:55 임도 – 09:14 상운산갈림길임도 – 09:40 헬기장/상운산갈림길 – 09:48 학심이골갈림길 – 09:58 쌀바위 – 10:13 데크쉼터 – 10:20 헬기장 - 10:53 가지산(△언양11,1998복구) - 11:02 헬기장 – 11:15 1,184봉/조망처(11:35 출발) - 12:14 백운산갈림길 – 12:39 아랫재 – 13:38 운문산 – 13:47 함화산 – 13:50 하양마을갈림길 – 14:41 진성이공묘 – 15:06 하양경로당 – 15:15 하양교 – 15:20 남명삼거리
지난 4일까지 며칠 동안 남부지방에 비가 내렸고 집에서 바라본 장산(萇山) 정상부에는 하얗게 눈이 제법 많이 쌓였다. 이를테면 영남알프스의 최고봉인 가지산엔 많은 눈이 내려 산객들을 반길 것이겠지만 경칩(驚蟄)인 5일은 아쉽게도 개인적인 업무가 있어 하는 수 없이 하루 늦은 6일(목요일) 찾기로 한다. 당초 생각에는 밀양시 산내면 하양리에서 함화산과 운문산으로 올라 아랫재를 지나 가지산을 거쳐 석남사 주차장으로 산행을 마무리 하려고 부산을 출발하기로 한다. 교통편은 승용차를 이용하면 들머리와 날머리가 유동적이라 혹시나 하는 생각에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로 한다. 먼저 08시30분에 석남사 출발 밀양행 시외버스를 이용하기로 하고 4호선 전철로 동래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여 노포에서 언양행 06시20분 첫차로 언양에 도착 곧장 석남사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석남사 입구에 도착하니 아침7시20분이다.
석남사 입구에서 밀양행 버스를 한 시간여 기다리느니 산행을 시작하기로 생각을 바꾸고 바로 실행에 옮긴다. 석남사 주차장 뒤편 중봉 방향으로 오를까 하다 조금 완만한 가지산온천 맞은편 보덕사를 지나 운문령 방향으로 올라가기로 한다. 완만한 산길이라 습기를 머금은 솔 갈비가 양탄자 역할을 해주는 산길이라 처음에는 걷기가 아주 수월하다. 고도가 높아지고 세찬 바람에 날려 능선에는 무릎까지의 눈이 쌓여있는데 겨우 짐승 한 마리 지나간 흔적만 보일 뿐이다. 산불감시탑을 지나 운문령에서 올라온 낙동정맥의 주능선을 만나면서 선답자들이 발자국을 따르니 한결 수월해졌다. 임도가 꼬불꼬불 올라오지만 가파른 산길을 치고 오르면 귀바위를 거쳐 상운산으로 향하는 갈림길을 만나는데 러셀이 이루어지지 않아 계속 임도를 따라가기로 한다.
임도를 따라 쌀바위로 향하는 주위의 설경과 눈꽃은 과히 말과 글로 표현키 어려울 정도이다. 고도를 높일수록 쌓인 눈은 그 두께를 더하고 쌀바위 대피소를 지나 가지산 정상에 올랐다. 춥고 힘이 부대끼면 중봉으로 내려갈까 하였는데 아직 정오가 안 된 시간이고 날씨마저 포근하여 운문산까지 걷기로 마음을 고쳐먹는다. 가지산 아래 헬기장을 지나면서 눈꽃과 설경은 절정에 달하고 백운산 갈림길 삼거리를 지나 아랫재에 내려선다. 아랫재에서 다시금 한 시간여 걸려 운문산 정상에 힘겹게 올라선다. 수년전 석골사에서 이곳 운문산에 같이 올랐던 수원의 친구를 잠시 생각해본다.
운문산에서의 추억을 가슴에 품고 바로 아래 함화산으로 향한다. 내려가는 왼쪽 길 섶에 하양마을로 가는 갈림길이 있다만 눈에 덮여 보이지 않는다. 하나 함화산을 밟고 되돌아 올라와 OruxMaps이 가리키는 보이지 않는 곳으로 미끄러지며 스틱으로 버티면서 내려간다. 잠시 함화산 정상에서 내려서면 아무도 밟지 않은 곳에 움막의 골조만 흉물로 남아있는 모습을 보니 등로를 벗어나지 않고 제대로 내려왔음을 느낄 수가 있었다. 하양마을에 가까이 내려서니 쌓인 눈도 녹았고 남명교차로에 도착하여 잠시 기다리니 석남사행 버스가 도착하여 연계되는 대중교통수단을 이용 부산에 도착하면서 하루의 일정을 마무리 한다.
산행트랙
가지산 정상
운문산으로 오를까 생각하며 석남사로 출발하였는데 폭설을 보고 갑자기 방향을 바꾸어 가지산으로 향한다/내원사 아래 계곡에서 올려다본 가지산 방향(07:21)
가지산온천 건너 보덕사입구의 등산로 안내도(07:29)
오능 산행 들머리인 보덕사(07:30)
보덕사의 이정표/가지산까지 6.4km란다(07:30)
산객을 마중나온 보덕사의 백구/白狗(07:30)
보덕사 뒷쪽의 산죽(07:33)
오른쪽 문복산과 외항재 방향이 나뭇가지사이로 조망된다(07:59)
고도가 높아지니 무릎까지의 눈이 쌓여있는데 겨우 짐승 한 마리 지나간 흔적만 보인다(08:03)
눈을 헤치며 오르는 길 만만하지않다(08:10)
스틱을 찔러 보있더니 깊게 들어간다(08:44)
주능선에 위치한 산불감시탑(08:50)
산불감시탑에서 바라본 왼쪽 신불~간월산~배내봉에서 짤록한 배내고개 오른쪽은 능동산이다(08:50)
산불감시탑에서 바라본 왼쪽 배내봉에서 짤록한 배내고개 오른쪽은 능동산에서 가지산 중봉 방향이다(08:50)
산불감시탑에서 바라본 가지산은 많은 눈으로 덮혀있다(08:50)
헬기장/뒷쪽 왼쪽으로 가지 중봉과 가지산 정상이 조망된다(08:54)
운문령 갈림길 임도의 이정표(08:55)
상운산 갈림길의 이정표/상운산으로 오를까하며 고심 하였는데 아무도 밟은 흔적이 없어 임도를 따라간다(09:14)
임도의 설경(09:19)
임도의 설경(09:21)
임도에서 바라본 가지 중봉과 가지산 정상의 설경(09:23)
임도의 설경/정면으로 귀바위가 보인다(09:24)
임도에서 바라본 왼쪽은 신불산과 간월산 배내봉으로 이어지고 오른쪽은 능동산에서 천황산으로 이어진다(09:21)
임도에서 바라본 가지 중봉과 가지산 정상(09:25)
정면으로 귀바위가 가까이 다가온다(09:30)
구급함/119 가지산 105지점(09:34)
임도의 설경(09:34)
임도의 설경(09:39)
상운산과 배너미재 갈림길(09:40)
학심이골 갈림길(09:48)
정면으로 쌀바위(米岩)이 가까이 보인다(09:49)
쌀바위대피소와 쌀바위(09:55)
쌀바위 대피소(09:55)
쌀바위대피소 앞의 표석과 뒷편 왼쪽이 상운산(09:56)
쌀바위대피소 앞에서 바라본 언양시가지와 멀리는 문수산과 남암산이 조망된다(09:56)
쌀바위대피소 앞에서 바라본 배내봉에서 간월~신불~영축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한눈에 조망된다(09:56)
쌀바위대피소 앞에서 바라본 가지중봉과 가지산(09:56)
쌀바위(09:58)
쌀바위(09:58)
쌀바위(09:58)
쌀바위의 데크길(09:58)
설경(10:00)
설경(10:00)
뒤 돌아본 상운산(10:01)
가지산 오름길 왼쪽으로 간월~신불~영축산이 조망된다(10:03)
설경(10:04)
설경(10:04)
설경(10:05)
운문산 생태,경관보존지역(10:08)
설경(10:10)
산죽밭의 설경(10:12)
설경(10:12)
뒤 돌아보니 왼쪽은 상운산이고 중앙부는 고헌산이다(10:10)
설경(10:21)
설경/가지산 철쭉군락지 보호지역(10:21)
나뭇가지 사이로 경산 시가지가 조망된다(10:25)
눈꽃 너머로 가지산 정상이 고개를 내민다(10:30)
눈꽃 너머로 가지산 중봉에서 능동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건너에는 간월과 신불산이 이어진다(10:30)
눈꽃 너머로 고헌산이 오른쪽은 상북면 궁근정리 방향이다(10:30)
눈꽃 너머로 가지산 정상이 고개를 내민다(10:30)
눈꽃(10:30)
눈꽃(10:31)
설경 사이로 보이는 가지산 정상(10:31)
고사목 오른쪽으로 가지산 북릉이 위용을 뿜뿜한다(10:32)
눈꽃(10:34)
눈꽃(10:34)
설경(10:34)
눈꽃(10:37)
설경 왼쪽으로 가지산 중봉과 멀리 천황산이 조망된다(10:37)
뒤 돌아본 설경 사이로 쌀바위와 상운산에서 왼쪽 배너미재로 이어지는 능선도 조망된다(10:41)
뒤 돌아본 상운산 오른쪽으로 고헌산이 보인다(10:45)
눈꽃(10:48)
119 가지산 110 표지목(10:49)
눈꽃(10:50)
눈꽃(10:50)
눈꽃(10:51)
눈꽃(10:51)
가지산 정상(10:53)
가지산 정상(10:53)
가지산 정상의 이정표(10:53)
가지산 정상의 삼각점(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중봉 건너편으로 배내봉~간월~신불~영축~오룡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능동산에서 턴황산과 재약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내려다본 아랫재 방향으로 이어지는 능선 왼쪽은 천황산이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지산대피소와 운문산에서 범봉을 지나 억산으로 이어지는 능선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지산대피소와 왼쪽은 억산이고 오른쪽은 가지산 북봉이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북봉 멀리 경산 시가지가 조망된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계곡 아래에는 운문사가 자리한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쌀바위를 지나 상운산으로 이어지고 오른쪽 멀리는 문복산이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쌀바위를 지나 상운산으로 이어지고 중앙부 멀리는 문복산이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지산 중봉능선이다(10:53)
가지산 정상에서 바라본 중봉을 지나 왼쪽으로 휘어져 능동산과 배내봉을 거쳐 간월과 신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0:53)
이제 황홀한 눈길로 내려가서 운문산으로 향할 것이다(11:01)
오른쪽으로 아랫재로 내려 앉았다 솟아오른 운문산과 오른쪽은 억산이다(11:01)
눈꽃(11:02)
눈꽃(11:02)
뒤 돌아본 가지산 정상(11:02)
눈꽃(11:03)
눈꽃 뒤로 가려는 운문산(11:03)
눈꽃 뒤로 경산 시가지가 보인다(11:03)
눈꽃(11:05)
조망처에서 바라본 중앙부 능동산 뒤로 간월산과 신불산에서 영축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조망된다(11:07)
조망처에서 바라본 얼음골 계곡 뒤로 재약산과 천황산 정상부만 고개를 내민다(11:07)
눈꽃(11:08)
눈꽃(11:13)
눈꽃(11:13)
눈꽃(11:15)
1,184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설경 너머로 보이는 가지산(11:15)
1,184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가지산 중봉에서 호박소 방향으로 이어지는 능선(11:15)
1,184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능동산 건너 간월과 신불산 그리고 영축과 오룡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1:15)
눈꽃(11:36)
설경 너머로 성큼 다가온 운문산(11:38)
설경 아래로 백운산이고 뒷쪽 왼쪽으로부터 재약산과 천황산을 지나 도래재로 가라 앉았다 정승봉으로 이어진다(11:38)
눈꽃(11:39)
중앙으로 간월산에서 신불산 그리고 영축산에서 시살등으로 그리고 앞쪽 능선을 능동산에서 얼음골케이블카 상부승강장으로 이어진다(11:59)
멧돼지들의 먹이를 찾은 흔적(12:01)
뒤 돌아본 가지산과 오른쪽 중봉(12:02)
암봉 왼쪽은 간월산에서 신불산과 영축산 그리고 오룡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2:02)
아래 백운산 뒤로 천황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뒤 하늘금은 영축산에서 시살등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12:13)
백운산 갈림길의 이정표(12:14)
앞쪽은 능동산이 보이고 뒷쪽 능선은 간월~신불~영축산이 조망된다(12:15)
얼음골상부케이블카 탑승장에서 천황산으로 이어지는 능선(12:15)
나뭇가지 사이로 운문산이 보인다(12:25)
가지산과 운문산 그리고 얼음골의 삼양마을과 운문사를 이어주는 아랫재(12:39)
아랫재의 이정표(12:39)
아랫재의 등산안내도(12:39)
운문산 오름길에서 바라본 왼쪽 신불산에서 영축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구름에 가려 희미하게 조망된다(13:21)
운문산 정상부가 잡힐 듯 다가왔다(13:25)
운문산 직전 오름길에서 바라본 남명리 마을과 왼쪽 천황산에서 도래재를 거쳐 정승봉으로 이어진다(13:25)
운문산 직전의 계단(13:28)
운문산 직전에서 바라본 가지산 북봉에서 가지산 정상이 보이고 그곳 오른쪽으로는 조금전 걸어온 능선길이다(13:29)
운문산 직전에서 바라본 얼음골과 그곳 뒤로 천황산이 조망된다(13:30)
운문산 직전에서 바라본 중앙부의 가지산 정상과 오른쪽은 지나온 능선들이 조망된다(13:35)
운문산 직전에서 바라본 백운산 갈림봉에서 백운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그곳 뒤로 신불산이 조망된다(13:35)
운문산 직전에서 바라본 얼음골과 그곳 뒤로 천황산이 조망된다(13:35)
운문산 직전에서 바라본 도래재와 오른쪽으로 영산~정승봉~실혜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조망된다(13:35)
운문산의 또 다른 정상석(13:38)
운문산 정상부(13:38)
운문산 정상(13:38)
운문산 정상의 이정표와 경관보존지역안내도(13:38)
운문산 정상부의 노송(13:38)
운문산 정상에서 바라본 함화산 방향과 왼쪽으로 하산할 예정이다(13:42)
함화산 정상(13:47)
함화산 정상석 뒤면/산에다 마을을 두고 끝없는 열정으로(13:47)
함화산 정상에서 내려서면 아무도 밟지않은 곳에 움막 골조만 흉물로 남아있다(14:01)
눈 쌓여 길이 보이지 않는 하산길에서 길잡이를 해준 '울산 오바우'의 고마운 표시기(14:33)
하양마을 하산길에서 건너편으로 보이는 영산 그리고 정승봉과 실혜산(14:44)
하양마을 하산길에서 건너편으로 보이는 천황산(15:02)
하양마을의 노거수(15:05)
하양마을의 노거수/2021년09월04일(토) 사진
하양교에서 뒤돌아본 운문산(15:15)
하양교에서 뒤돌아본 운문산과 가지산을 이어주는 아랫재가 중앙으로 보인다(15:15)
하양교에서 뒤돌아본 가지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에서 오른쪽으로 뻗어나온 백운산(15:15)
6. 오는길
- 15:35 남명교차로 출발 - 15:45 석남사주차장 도착(밀성여객)
- 16:00 석남사주차장 출발 - 17:20 태화강역 도착(1713번 버스)
- 17:35 태화강역 출발 - 18:43 부산원동역 도착(동해선전철)
'근,원교산행 > 근교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천역~신선산~안장산~함박산~석은덤~해운대컨트리클럽~투구봉~천불사입구~덕계(부산 기장, 경남 양산) (0) | 2025.04.12 |
---|---|
신기마을~466봉~고헌산/서봉~고헌산~고헌사~신기마을(울산 울주, 경북 경주) (0) | 2025.03.20 |
신명초교~철쭉제단~은수고개~천성산/원효봉~지푸네골~용주사~석계(경남 양산) (2) | 2025.03.01 |
청수우골~시살등~한피기고개~죽바우등~채이등~함박등~영축산~단조성터~신불산휴양림(경남 양산, 울산 울주) (2) | 2025.02.07 |
삼계리~559봉~911봉~학대산~949봉~문복산~마당바위~삼계리(경북 청도, 경북 경주) (2) | 2025.01.30 |